초기세팅
- git repository 생성
- 내 컴퓨터에서 directory 생성 수 git repository clone
$git clone ~~~~~
cf ) git repository 와 내가 생성한 dir 명이 다른 경우 매번 파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생김
그러니 repository 와 dir 을 같게 하는게 편함
- 내 컴퓨터에서 git repository clone 한 dir 에서 .git 파일을 찾음
$ls -al
- vue 초기 세팅 설치
$vue init webpack <project-name>
webpack 을 이용한 vue-cli 초기 세팅
예시 ) 해당 값들은 package.json 에서 변경 가능

- vue-cli을 이용한 내 컴퓨터의 초기 프로젝트 세팅을 git에 올림
# add
# . 은 현재 stage에 있는 모든 파일 올림
$ git add .
# commit
$ git commit -m '~~~~커밋할 메시지~~~'
# push
# 처음 push할때는 git 계정 물어봄
# 만약 게정을 물어보지 않으면 권한 문제가 있어 github에서 따로 설정해줘야함
$ git push
# status
# 현재 내 브랜치에서 깃 상태 보기위한 명령어
$ git status
cf ) windows 에서 계정이 엉켰을때 참고 한 사이트
https://yunseul-light.blogspot.com/2017/08/github-windows-git.html
Vue 파일 실행 원리
vue 는 웹팩을 통해 웹에서 읽을 수 있는 html 형태로 바꿔줌
index.html
- 처음 읽히는 파일 여기에서 App.vue를 불름
App.vue
- 찐으로 뷰가 처음 시작되는 부분
main.js 를 처음 읽음
main.js 안에 http import
import 시킨 http관련 파일(http/index.js) 를 처음 읽음 여기에서 라우터 사용하면서 페이지 불러옴
- main.js
- 용도 - router, vuex 와 같은 plugins import 관련만 사용
- 주의 - 로직은 안들어가는게 좋음
- 왜? 유지보수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언제 main.js를 다 까봄..?
- 다른 js파일로 뺄것 예를 들면 http/index.js , store.js , etc
- config
- 어떤 포트로 띄우며 url 가 뭐고 이런거 설정되어있음
- 서버에 따라서 설정을 다르게 하려면 파일을 나누면됨
- config/env.js
- 포트번호, url과 같은 환경 설정 파일
- 서버 프로필 어디를 물로 실행 하는지에 관한 설정파일
- http/index.js
- .config 에서 설정한 환경 설정을 불러다가 씀
- axios 관련
// index.js 파일 내용
// BASE_URL 은 .config 에서 설정해놓은거 불러다가 http 요청할거다라고 명시
axios.defaults.baseURL = process.env.BASE_URL
cf ) main.js , index.js 관계는 무엇?
- index.js - 뭣도 없는 html 뷰
- main.js - 라우터 등등 javascript, 포트.. 등등
cf ) 파일 구조 잡을 때 주의
- views dir - 실제 그려지는 뷰
- component dir - 페이지에서 공통으로 쓰는 것들
- ex ) 뷰 타이알로그를 여러곳에서 쓰는데 이걸 커스터마이징 하고 싶을 때 여기에 넣음# 1주차 (2020-06-11)
초기세팅
git repository 생성
내 컴퓨터에서 directory 생성 수 git repository clone
$git clone
~\\~
cf ) git repository 와 내가 생성한 dir 명이 다른 경우 매번 파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생김
그러니 repository 와 dir 을 같게 하는게 편함
- 내 컴퓨터에서 git repository clone 한 dir 에서 .git 파일을 찾음
$ls -al
- vue 초기 세팅 설치
$vue init webpack <project-name>
webpack 을 이용한 vue-cli 초기 세팅
웹펙이란?
- 예시 ) 해당 값들은 package.json 에서 변경 가능

- vue-cli을 이용한 내 컴퓨터의 초기 프로젝트 세팅을 git에 올림
# add .
# . 은 현재 stage에 있는 모든 파일 올림
$ git add .
# commit
$ git commit -m '~
~커밋할 메시지~
'
# push
# 처음 push할때는 git 계정 물어봄
# 만약 게정을 물어보지 않으면 권한 문제가 있어 github에서 따로 설정해줘야함
$ git push
# status
# 현재 내 브랜치에서 깃 상태 보기위한 명령어
$ git status
- cf ) windows 에서 계정이 엉켰을때 참고 한 사이트
https://yunseul-light.blogspot.com/2017/08/github-windows-git.html
Vue 파일 실행 원리
vue 는 웹팩을 통해 웹에서 읽을 수 있는 html 형태로 바꿔줌
- index.html
- 처음 읽히는 파일 여기에서 App.vue를 불름
- App.vue
찐으로 뷰가 처음 시작되는 부분
main.js 를 처음 읽음
main.js 안에 http import
import 시킨 http관련 파일(http/index.js) 를 처음 읽음 여기에서 라우터 사용하면서 페이지 불러옴
main.js
용도 - router, vuex 와 같은 plugins import 관련만 사용
주의 - 로직은 안들어가는게 좋음
왜? 유지보수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언제 main.js를 다 까봄..?
다른 js파일로 뺄것 예를 들면 http/index.js , store.js , etc
config
어떤 포트로 띄우며 url 가 뭐고 이런거 설정되어있음
서버에 따라서 설정을 다르게 하려면 파일을 나누면됨
config/env.js
포트번호, url과 같은 환경 설정 파일
서버 프로필 어디를 물로 실행 하는지에 관한 설정파일
http/index.js
.config 에서 설정한 환경 설정을 불러다가 씀
axios 관련
// index.js 파일 내용
// BASE\_URL 은 .config 에서 설정해놓은거 불러다가 http 요청할거다라고 명시
axios.defaults.baseURL = process.env.BASE\_URL
cf ) main.js , index.js 관계는 무엇?
index.js - 뭣도 없는 html 뷰
main.js - 라우터 등등 javascript, 포트.. 등등
cf ) 파일 구조 잡을 때 주의
views dir - 실제 그려지는 뷰
component dir - 페이지에서 공통으로 쓰는 것들
ex ) 뷰 타이알로그를 여러곳에서 쓰는데 이걸 커스터마이징 하고 싶을 때 여기에 넣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