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일시스템의 이해

- 파일시스템 : 운영체제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고, 쓰고 찾기위해 구성하는 일련의 체계, 운영체제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장 직접적인 서비스 형태중 하나

- 파일시스템의 구성은 운영체제 설치지 발생

 

1. 파일시스템의 기능

(1)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Create), 수정(Modify), 삭제(Delete) 할 수 있도록 제공

(2) 사용자가 파일을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구조로 구성하고, 다양한 추가 정보 제공

(3) 다른 사용자와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제어 방법 제공

(4) 파일 공유를 위하여 판독 접근, 기록 접근, 수행 접근 등의 다양한 접근 제어방법제공

(5) 정보 손실이나 파괴를 방지하기위해 백업(Backup)이나 복구(Recovery)를 위한 기능 준비

(6) 사용자와 장치 간의 독립성(device independence)을 유지하기위해, 사용자가 물리적인 장치 이름 대신에 적절한 이름 제공

(7)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고 비밀이 보장될수 있도록 정보의 암호화(encryption) 및 복호화(decryption)기능제공

(8) 사용자가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접근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및 명령어 제공

 

2. 리눅스 파일 시스템

-cf)운영체제는 저장단위를 바이트로 사용한다

- 주요 파일 시스템

 minix: 파일시스템으로 초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모태가되었고 사이즈와 파일 이름이 제한이 많았다

 ext: minix최대 파티션 크기와 파일 이름 제한을 해결한 시스템 이지만 파일접근지원에 문제 있음

 ext2 : 고용량 디스크 사용을 대비해 확장성에 염두하고 설계

ext3 : ACL(Acces Control List)를 통한 접근 제어 지원

ext4 (주로사용) : 기억공간제한을 없애고 대형파일 시스템관련된 기능 강화

nfs :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파일들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proc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커널과 관련된 데이터를 담는 영역

항목

ext2

ext3

ext4

XFS

RHEL 6

RHEL7

RHEL 6

RHEL 7

최대 파일크기

2GB

2TB

16TB

100TB

500TB

최대 파일 시스템 크기

4TB

16TB

16TB

50TB

300TB

500TB

하위 디렉터리

생성 최대수

32000

32000

65000

제한없음

3.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구조

-블록 : 파일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로 메모리에서 입출력 작업시 한번 거칠떄 읽거나 쓰여지는 단위

-슈퍼블록: 파일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블록

-데이터 블록 : 파일을 보관해야 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파일의 데이터가 존재

-간접 블록 : 추가적인 데이터 블록을 위한 포이터들이 사용할 동적으로 할당되는 공간

-: 아이노드나 간접 블록 안의 데이터 블록의 주소로 특별한 값이 저장되지만 디스크상 공간은 실질적으로 할당되지 않음

-저널링 기술 : 기존 FSCK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위해 데이터를 디스크를 사용하기전 로그에 데이터를 남겨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종료에도 로그를 사용해 FSCK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복구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파일 시스템에 수정내용을 적용하기되면 속도도빠르고 복구안정성도 뛰어난다

EX ) ext3, ext4, XFS, JFS, ReiserFS

-아이노드 : 전통적인 유닉스 계열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자료구조로 각각의 파일은 하나의 아이노드를 할당받아 관리

           아이노드는 아이노드 넘버,접근모드, 파일형식, 소유자 정보, 파일크기 등 정보를 저장

1. 부트 매니저(부트 로더: 부팅매니저 프로그램)

-부트 매니저: 부팅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

-하드디스크 맨 앞쪽 MBR(Master Boot Record)에 설치가 된다

(MBR: 부트 섹터로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0)에 해당되고 크기는 512 바이트이다/ 부티매니저프로그램과 파티션 정보이 기록됨)

 

1.LILO(Linux Loader)

- 특정 파일 시스템에 구애받지 않고 플로피 디스크와 하드디스크를 이용한 부팅을 지원한다

- 현재는 잘사용하지 않음

 

2.GRUB(Brand Unified BootLoader)

-LILO에 비해 다양한 파일시스템을 지원하고 커널 인자를 조정하여 동적인 부팅을 지원한다

-메뉴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하고 Bash와 같은 명령행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

-그래픽 메뉴와 배경그림 삽입도 가능

(1)GRUB의 부팅보드

-> [a] : grub.conf에서 kernel과 관련된 부분의 매개변수를 추가할 수 있게 해준다.

           싱글모드로 진입할 때 이키를 누르고 맨위에 single또는 1이라고 입력하면됨

-> [e] : grub.conf에 등록된 부팅목록의 모든 항목을 직접 편집할 수 있게해준다

           이때 메뉴를 편집한다고해서 grub.conf가 바뀌는 것이아니고 현재 부팅시에만 일시적으로 적용됨

           편집을 잘못 했을 경우 esc누르면 됨

           지원키

-      e : 커서가 위치한 줄 편집

-      d: 커서가 위치한 줄 삭제

-      o : 명령 줄을 커서가 위치한 줄의 아래에 추가

-      O : 명령줄을 커서가 위치한 줄의 위에 추가

-      b : 부팅을 시작한다(최종 편집후 부팅시 사용)

->[c] : 상호 대화식으로 직접 입력할수 있는 모드로 사용방법은 명령어를 입력하는 bash shell과 비슷하다

           [Tab]를 이용하여 명령행 자동완성

           [Esc]키를 사용하여 취소

           순차적으로 입력후 맨마지막에서 boot입력시 부팅됨

 

(2) GRUB의 환경 설정 파일

-> 내용

#boot=/dev/sda             //부팅되는 하드디스크를 지정하는 항복으로 시스템에 장착된 하드디스크가 하나인경우 주석처리됨

default=0                     //전원켰을떄 기본적으로 부팅되는 운영체제를 설정하는 항복으로 grub메뉴 화면에서 선택하지 않았을시 이값을 기준으로 운영체제가 선택된다

timeout=10                  //grub메뉴 화면에서 대기시간으로 단위는 초이다 주석처리나 항목없으면 [enter]눌러야 부팅됨

splashimage=(hd0,3)/boot/grub/splash.xmp.gz        //grub화면의 배경이미지를 지정하는 부분

title CentOS                  //리눅스운영체제의 기본형태

titme Dos  //윈도우 언엥체제의 기본형태

(cf)리눅스 디바이스와 grub디바이스와의 관계

           -(fd0) : 첫번째 플로피디스크 장치인 dev/fd0을 말함

           -(hd0) : 첫번째 하드디스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dev/sda또는 /dev.hda 가 해당

           -(hd1) : 두번째 하드디스트인 /dev/sdb또는 /dev/hdb를 의미

           Ex) (hd0,3) : /dev/sda4또는 /dev/hda4를 의미

 

2. 디렉터리 구조 및 역할

-디렉터리: 파일을 보관하는 곳

-종류

-> / : 최상위에 있는 디렉터리로 루트 디렉터리

-> /bin : 일반적인 binbinary의 약자로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다. 명경어 라는 것들이 있는 디렉터리

-> /boot : 부팅 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등 시스템 부팅시 필요한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이다

-> /dev : 하드디스크, CD-ROM,터미널 등 실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들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터리

-> /home : 개인사용자들이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만들어 사용할수 있는 홈디렉터리가 위지한다

->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들어있다

-> /lib :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로 커널 모듈도 포함됨

-> /lost+found : fsck명령어를 이용해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터리

-> /mnt : CD-ROM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을 마운트 할떄 포인터가 되는 디렉터리

-> /misc : 자동마운트 프로그램인 autofs에 의해 사용되는 디렉터리

-> /opt : 응용 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디렉터리

-> /proc : 가상파일 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의 상태정보, 하드웨어 정보ㅡ 기타 시스템 정보등을 담고있다

->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로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들이 있는 디렉터리로 보통 슈퍼유서인 root가 사용한다 여기에는 시스템 종료 명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명령, 시스템점검과 복구 명령어가 있다

-> /tmp : 임시저장 디렉터리로 각종 프로그램이나 소켓파일, 프로세스 작업을 할 때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고 이 디렉터리는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이 가능하다

-> /usr: 시스템운영에 필요한 명령, 응용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터리이다.

-> /var : 시스템 운영 로그 파일과 스풀링과 같은 가변적인 데이터를 보관하는 디렉터리

-> /sys : 하드웨어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디렉터리이다. /proc디렉터리에서 기본적인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하나 /뇬에서는 계층적인 구조로 정보를 제공한다

-> /cgroup : control group 은 시스템상에 동작중인 태스크들을 임시로 그룹지어 제어할수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관련정보를 담고있는 디렉터리

-> /run : 부팅 이후 동작중인 프로세스의 런타임데이터를 저장하고있는 디렉터리

 

3.부팅과 셧다운

1. 부팅

-컴퓨터의 전원이 켜진후 운영체제가 가동되어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과정

-부팅은 하드웨어단계(시스템에 장착된 하드웨어를 인식하고 점검)와 소프트웨어적 단계(사용자가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상주 시킴)

-하드디스트에 설치된 운영체제의 부팅 과정

           1.. 컴퓨터 전원을 켜면 바이오스는 컴퓨터에 장착된 HW를 점검

           2. 바이오스는 하드웨어검사가 끝나면 CMOS에 설정된 첫번쨰 부팅 하드디스크를 확인

           3. 첫번쨰 하드디스크의 MBR영역에 있는 부트 매니저 프로그램 실행

           4. 부트매니저 프로그램은 관련 환경파일을 참고하여 운영체제 부팅을 시작

 

2. 리눅스 부팅

-MBR에 설치된 부트매니저 프로그램인 GRUB의 실행을 시작으로 텍스트 기반의 콘솔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거나 x-윈도가 구동되어 로그인창이 나타나기 전까지 의 과정

(1)리눅스 부팅의 하드웨어 인식단계

-> 부팅시 하드웨어 설정과 관련하여 특정 값을 지정하거나 변경시, 커널 매개변수 지정하면 설정 변경이 가능

-> grub인 경우 [e]를 누르거나 [a]를 눌러 커널 값을 추가로 지정가능

-> 리눅스는 하나의 덩어리 형태인 단일형 커널 형태이다

-> 모듈화 : 리눅슨는 사운드 카드나 이더넷 카드의 드라이버를 커널안에 전부 포함시킬수 없어 효율적으로 해결하기위한 방법

(2) 리눅스 부팅의 소프트웨어 구동 단계

->리눅스 시스템 부팅시 커널이 로드되면 커널은 우선 루트 파일 시스템을 읽기전용으로 마운트 하고 검사후 이상없으면 쓰기 가능 형태로 마운트 한다

-> 그후 커널은 init프로세스를 발생시킨다(init : 리눅스 부팅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구동을 위임 받는다)

-> /etc/initab : 부팅과 관련된 런레벨이 지정되어 있다

-> /etc/init/rcS.conf : 시스템 초기화와 관련된 내용이 설정되어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호스트명 설정, 시스템 점검, RAIDLVM장치 활성화, 쿼터 설정 활성화 등을 한다(/etc/rc.d/rc.sysinit스크립트 실행)

-> /etc/init/rc.conf : 부팅시 각 레벨별로 진행되는 내용이 설정되는 파일. rc스크립트는 런레벨이 3이면 /etc/rc.d/rc3디렛터리안에있는 실행 데몬 스크립트중 S로 시작되는 스크립트를 찾아 부팅되게 함(/etc/rc.d/rc스크립트 실행)

-> /etc/rc.d/rc.local : 실행레벨 2,3,5에서 가장 마지막에 실행되는 파일로 보통 사용자가 부팅시 필요한 서비스를 구동할 때 이파일 안에 등록하여 사용

 

3. 실행레벨(Runlevel)

-일반적인 실행레벨 : /etc/inittab에 정의됨(0~6까지)

-S레벨 : 기능적으로느 1번과 유사하지만 관련 ㅍ로세스나 데몬을 최소화 하기위해 유지보수나 점검에 적합하다. 특히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 발생시 주로 사용되어 emergency모드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실행레벨

           0 : 시스템 종료할떄 호출되는 레벨(기본값으로 설정 불가)

           1 : 단일 사용자 모드로 로그인 과정없이 root사용자로 리눅스 시스템을 부팅하여 일종의 관리자 모드와 같은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서버, 파일 공유 와 같은 서비스를 하지않고, root패스워드를 잊었거나 파일 시스템 점검 및 복구, 시스템 점검등을 할 때 접근

           2 : 네트워크 사용하지 않는 다중 사용자 모드이다.

           3 : (텍스트 환경):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로 X윈도를 사용하지 않고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때 추천

           4 : 사용되지 않는 레벨이지만 사용자가 정의 하여 사용가능

           5 :(그래픽 환경): X윈도를 사용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로 최근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레벨

           6 : 시스템 재부팅시 호출되는 레벨(기본값으로 설정 불가)

 

(1)로그인

->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해 접근권한과 사용권한을 획득하는 단계

-> 런레벨이 3인경우 : [CTRL]+[ALT]+[F1~6]개의 가상콘솔을 통해 로그인 가능

getty라는 프로그램이 터미널이나 콘솔에 로그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이때 메시지 파일인 /etc/issue의 상단 내용을 출력하고 login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옳을시 셸을 실행시키고 틀리면 종료

-> 런레벨이 5인경우 : x-window기반 그래픽 로그인 창 나타남

                           [CTRL]+[ALT]+[F7] 에 그래픽 하게 나타남

->로그인 메시지 관련 파일

           /etc/issue : 사용자가 로그인할때 ‘login : ’보여주기전에 출력되는 내용

/etc/issue.net : issue와 역할은 같은데 issue는 로컬의 터미널로 접속시 출력되는 메시지를 기록하고 /issue.net는 텔넷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시 출력되는 메시지를 기록

           /etc/motd : ‘Message Of The Day’의 약어로 성공시 접속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메시지

 

(2)로그아웃

-> ‘logout’ or ‘exit’ or [CTRL]+[D] : 콘솔이나 터미널창에서 로그아웃하는 명령어

-> X-window에서는 메뉴를 통해 로그아웃 가능

-> 자동로그아웃 :/etc/profile에서 ‘TMOUT=해당 초 이후 아무 것도안하면 로그아웃

 

(3) root패스워드 분실과 단일 사용자모드로 부팅

-> root패스워드 잃어 버렸을 경우 단일사용자 모드로 부팅해야한다. 여기에서는 root패스워드 변경이나 파일 시스템 복구 작업을 할수 있다.

-> 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 방법

1. 재부팅으로 GRUB부트 메뉴가 나타나도록함 (레드햇의 경우 숨어있으므로 아무키를 눌러 나타나도록함)

2. 해당 리눅스 운영체제항목으로 이동후 [a]혹은 [e]를 눌로 커널 아규먼트로 수정할수 있는 상태로 만듦

3. [a]로 누르면 커널 아규먼트를 수정할수 있는데 줄끝에 single혹은 ‘1 ’를 입력하고 [enter]누르면 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됨

4.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시 패스워드 입력없이 자동 root로 로그인되고 passwd명령을 입력해 새로운root패스워드 설정

(4) GRUB패스워드를 잃어 버린경우

-> root 패스워드를 복구 할수 없는 경우에 설치 디스크를 이용해 응급 복구 모드로 진입후 /boot/grub/grub.conf에 설정한 password항목을 삭제해야함

           1. 설치디스크를 이용해부팅

           2. 응급 복구모드인 Resure installed system선택

           3. 기본선택후

4. 설치된 리눅스 시스템이 /mnt/sysimage디렉터리로 마운트된다 더쉬운 사용을 위해 /로 변경

#chroot /mnt/sysimage   

5. /boot/grub/grub.conf파일을 열어 password항목 삭제

#vi /boot/grub/grub.conf

6.재부팅하여 root패스워드 복구

4. 시스템 종료

- X-Window 종료법 :[끄기]

- 터미널 환경에서 종료법

(1) shutdown

-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전원 종료 root권한자만 사용가능

-사용법 : #shutdown [option] 시간 [경고 메시지]

-옵션

           -r : 시스템 재부팅시 사용 (reboot)

           -h : 시스템 종료할 때 사용(halt)

           -c : 예약된 셧타운 명령 취소

           -k : 실제 셧다운 하지 않고 경고 메시지만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전송

Ex) #shutdown -r now -> 시스템 즉시 재부팅

(2) reboot

-시스템 재시작 하는 명령어

-로컬로 접속한 사용자 라면 모두가 사용가능

-사용법 : #reboot [option]

-옵션

           -w : 시스템을 재수팅 하지 않고 /var/log/wtmp 에 셧다운 기록만 저장

(3) halt

-시스템 종룡 명령어

-로컬로 접속한 사용자면 모두 가능

-사용법 : #halt [option]

-옵션

           -p : 시스템 종료하고 전원끄는 경우 사용(--poweroff)

(4) poweroff

-시스템 종료 및 전원끄는 명령어

(5) init, telinit

- init프로세스(모든 프로세스의 조상)에 직접 요청해 실행 레벨변경시 사용해 빠르게 실행되지만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무조건 적으로 종료하여 권장하지는 않은

-사용법: #init 실행레벨

1. 하드웨어의 이해

-리눅스의 최적의 성능을 발위하기위해 알아야할 것

(1)CPU
(2)
메모리(RAM)

(3)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리눅스는 초기에 사용하던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인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es),E-IDE(Enhanced IDE),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ATA(Serial ATA)등 현존하는 하드디스크 대부분이 사용가능하다

-> 초고속 반도체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한 USBSSD도 지원

-> IDEATAdev/hdx파일 형식 인식

-> S-ATA, USB메모리 , SSD SCSI /dev/sdx파일 형식으로 인식하여 사용

(4)모니터와 비디오 어댑터

->텍스트 기반의 콘솔 환경에는 모니터와 비디오 카드의 역할이 크게 중요하지 않으나. X-Window기반의 GUI환경에서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5)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더넷, 모뎀, ISDN,ATM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특히 이더넷카드는 제조사에 상관없이 다지원)

-> 네트워트 설정하기위해서는 IP주소, 넷마크,게이트웨이주소, DNS서버의 IP주소를 알아야한다

(6)키보드 및 마우스

-> 키보드 는 PS/2,usb방식지원, 마우스는 표준시리얼 마우스, PS/2, USB방식 지원(x-window에서는 마우스의 휠기능도 지원)

(7)CD-Romdvd-rom

->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와 같이 사용되어 대부분 자동으로 인식된다

-> ID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dev/hdx파일 형태로 사용

-> SCSI,S-ATA/dev/sdx

-> 최근은 /dev/cdrom, dev/dvd

 

2. 하드웨어의 선택

1.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가 있을떄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해서 저장하는 방법

-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저장하여 입출력 작업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전체성능을 향상시키고 운영체제에서 하나의 raid는 논리적으로 하나의 디스크로 인식처리된다

-이용

->저용량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로 확장

->백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정적인 데이터의 보존과 유지기능, 속도 향상

- raid에서 사용하는 기술

 

(1)스트라이핑

-> 연속된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기록하는 기술

-> 하나의 디스크에서 읽어 들이는 것 보다 더 빠르게 데이터를 읽거나 쓸수 있다면 매우 유용

(서로 겹쳐 읽거나 쓸수있도록 설계된 네개의 드라이브가 있는 경유 하나의 섹터에 읽을수 있는 시간에 네개의 섹터를 동시에 읽을수 있다)

(cf) 라운드 로빈: 하나의 중앙처리장치를 임의의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프로세스가 조금씩 돌아가며 할당받아 실행되는 방식

 

(2)미러링

-> 디스크에 에러가 발생시 데이터의 손실을 막기위해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장치에 중복 저장하는 기술

-RAID의 종류

(1)RAID-0

-> 스트라이핑 기술을 이용해 빠른 입출력 속도 제공

-> 데이터를 중복이나 패리티 없이 디스크에 분산하여 기록

-> 처리속도는 빠르나, 구성된 디스크중에 하나라도 오류 발생시 데이터 복구 불가

(2)RAID-1

->미러링 기술을 사용하여 두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똑같이 기록

-> 스트라이핑 기술은 사용하지 않으며 각 드라이블르 동시에 읽을수 있어 읽기 성능은 향상되나 쓰기성능은 단일 디스크와 같다

-> 디스크 오류시 데이터 복구 능력은 탁월하지만 중복저장으로 인한 디스크 낭비가 50%

(3)RAID-2

-> 스트라이핑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

-> 디스크 에러감지와 수정을 위해 ECC(Error Check&Correction)정보 사용

(4)RAID-3

-> 스트라이핑 기술로 디스크 구성

->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기위해 별도로 하나의 디스크를 사용

-> 입출력 작업이 동시에 모든 디스크에 대해 이루어지므로 입출력을 겹치게 할 수는 없다

-> 보통 대형 레코드가 많은 시스템 에서사용

(5)RAID-4

-> 블록 형태의 스트라이핑 기술을 사용해 디스크구성

-> 단일 디스크로부터 레코드를 읽을수 있고 데이터를 읽을떄 중첩 입출력 장점이 있다

-> 쓰기 작업은 패리티 연산을 해야하고 패리티 디스크에 저장해야 되기 떄문에 입출력의 중첩이 불가하고 시스템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6)RAID-5

-> 패리티 정보를 이용해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구성방식으로 최소 3개의 디스크로 구성해야함

-> 패리티 정보는 별도의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된 디스크에 분산하여 기록하지만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지는 않아 가장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디스크에 쓰기 제한 주소를 지정하므로 모든 읽기 및 쓰기가 중첩될 수 있다

-> 작고 랜덤한 입출력이 많은 경우 더나은 성능 발휘

-> RAID-0의 단점인 결함허용을 지원하지 않고 RAID-1의 저장공간의 비효율성을 보완한 레벨로 디스크 개수를 늘릴수록 저장 공간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7)RAID-6

-> RAID-5와 전체적인 구성은 비슷하지만 디스크에 2차 패리티 구성을 포함해 매우 높은 고장 대비 능력

-> RAID-5 1개의 디스크 오류만 대처가 가능해 2개의 디스크오류 발생시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 하지만 RAID-6 2개의 패리티를 사용해 두개의 디스크오류에도 데이터를 읽을수 있다

-> RAID-5에 비해 디스크 공간 효율성은 떨어진다

->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처리속도는 떨어지나 데이터에 대한 실뢰성은 향상된다

(8)RAID-7

-> 하드웨어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있는 실시간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속도가 빠른 버스를 이용한다

(9)RAID 0+1

-> 디스크 2개를 RAID-0을 스트라이핑 기술로 구성하고, 다시 RAID-1의 미러링 구성하는 방식

-> 최소 4개의 디스크가 필요하다(만약 6개의 디스크면 3개를 RAID-0으로 나머지는 RAID-1로구성)

(10)RAID-10

-> RAID 0+1과 반대

-> 미러링후 스트라이핑 하는 방식

(11)RAID-11

->RAID-3방식에 별도로 스트라이프 어레이를 구성하는 방식

 

2. LVM(Logical Volume Manager)

-리눅스 설치시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면 파티션을 분할하고 공간을 할당하는데 이때 설정한 공간의 크기는 고정이되어 변경이나 용량 증설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LVM이다

-찰흙과 같은 개념으로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뭉쳐서 하나의 디스크 인 것 처럼 만들수 있고 두개의 하드디스크를 세개의 하드디스크인 것처럼 만들수 있다 또한 사용중인 파티션의 크기 또한 늘릴수 있다

-LVM구성도와 관련된 용어

(1)물리적 볼륨(PV: physical volume)

-> 실제 디스크에 물리적 으로 분할한 파티션 /dev/sdb1과 같다

-> LVM에서는 이런 물리적 볼륨을 하나의 구성원으로 받아 들이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2)볼륨 그룸(VG: Volume Group)

-> 물리적 볼륨이 모여 생성한 덩어리

(3)논리적 볼륨(LG: Logical Volume)

->  VG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할당하여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물리적 디스크에서 분할하여 사용하는 파티션

(4)물리적확장(PE:Physical Extent)

-> PV에서 나누어 사용하는 일종의 블록 같은 영역

1. 리눅스의 철학

1. GNU(GNU’s Not Unix)

-유닉스와 호환이 되도록 만든 OS이지만 유닉스와는 다른 OS

-SW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목적

 

2.FSF(Free Software Foundation)와 자유 소프트웨어

-자유 소프트웨어 :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르 실행, 학습,개작프로그램재배포, 향상시킬 자유가 보장되어야함

 

3.카피레프트와 GNU GPL(General Public License)

 

4. 주요라이센스

(1) GPL(General Public License)(GNU GPL에서 다섯가지의 의무를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 강제함)

-컴퓨터 프로그램은 법으로 제한하지 않는 한 어떤 목적으로든지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실행 복사본은 언제나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함께 배포해야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도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한다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똑 같은 라이선스인 GPL라이선스를 적용해야한다

 

(2)LGPL(Library/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SW라이브러리에 관한 라이선스

-소스 코드 수정시 2차적 파생물 저작권에 해당되므로 라이브러리의 소스코드 또한 제공해야한다

-LGPLGPL로 변경 가능 하지만 역은 불가능 하다

 

(3)BSD(Berkely Software Distribution)

-2차 파생물 원시 소스코드 비공개 가능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는 상용 sw에서 사용

 

(4)아파치 라이선스

-수정된 소스코드 비공개 가능 하지만 재배포시 아파치 sw재단에서 개발된 것을 발혀야함

 

(5)MPL(Mozilla Public License)라이선스

-MPL소스코드 수정시 코드 공개 필수 이지만 MPL+다른 소스코드일 경우 다른 소스코드를 공개 안해도된다

 

(6)MIT라이센스

-저작권 관련명시 하면 소스코드 비공개 가능

라이선스명

무료이용

배포

소스코드

취득 및 수정

2차 저작물

소스코드공개

특정 SW

와 결합

GPL

O

O

O

공개

X

LGPL

O

O

O

공개

O

BSD

O

O

O

비공개가능

O

Apache

O

O

O

비공개가능

O

MPL

O

O

O

공개

O

MIT

O

O

O

비공개가능

O

 

2.리눅스의 역사

1. 커널

-운영체제의 핵심

-시스템이 부팅될 때 로드되는데, 주된 역할은 시스템의 하드웨어 제어

Ex) 3.8.10

ð  3 -> 주버전: 커널의 큰변화시 증가

ð  8-> 부버전:작은 기능상의 변화나 추가된경우(짝수 : 안정 버전/ 홀수: 개발버전)

ð  10 -> 패치레벨: 버그가 수정되고 새로운 기능의 계획 추가 시 증가

 

2. 리눅스 배포판

-리눅스 커널 이외의 핵심적인 부분을 GNU정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자유 소프트웨어와 공개 프로그램을 모아 하나의 운영체제로 만든 것이다

-패키지 관리 기법의 종류

-> 슬랙웨어 : 소프트웨어를 최상단에서 최대한 수정되어 배포되는 형식으로 사용자들이 내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나 패키지를 새롭게 적용하거나 수정하기는 힘들다.

                      그래픽 기반의 설치 절차가 없고,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의존성도 자동으로 해결해주지 않는다, 또한 모둔 설정이나 관리를 편집기를 이용해 텍스트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형태로 이루어 져있다

->데미안 : 데미안과 슬릭웨어는 sls기반으로 만들어 졌으나, 이 배포판의 차이점은 패키지에 있다 슬랙웨어는 사용자가 패키지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수정하기 어려운반면 데비안은 ㅍㅐ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 등 패키지 관리가 매우편하다

-> 레드햇: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리눅스 배포한이다.

           쉬운 설치와 독자적인 패키지 관리가 있다. 레드햇 리눅스의 설치과정은 텍스트 기반의 이넡페이스 뿐만 아니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초보자들도 쉽게 설치할수 있다. 또한 RPM(Red hat Package Management)YUM(YYellowdog Updater, Modified)라는 패키지 관리 도구를 제공해 손쉽게 설치, 관리, 업그레이드를 할수 있다.

-수세

-우분투

 

3. 리눅스 클러스터링(Linux Clustering)

-클러스터: 무리, 송이 또는 한 덩어리 라는 뜻으로 컴퓨터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는 단말 제어 장치와 그에 접속된 복수 단말의 총칭을 말한다.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구성된 시스템을 말한다.

-사용목적

(1)고계산용 클러스터(HPC)

-> 고성능의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데 주로 과학계산용으로 활용된다(슈퍼컴퓨터)

-> 병렬처리용 슈퍼컴퓨터의 개발에서 시작됨

->  switch/hub =>node1

                      =>node2

                      =>node3

-> 하나의 작업을 3개의 노드를 이동하여 수행

(2)부하분산 클러스터

-> 대규모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스터 기법(이용자가 많은 웹서비스이용시 활용가치가 높다)

-> 여러대의 리얼 서버에 부하를 분산해 주는 로드 밸런서를 두고 운영하는 방법

-> user => load balancer =>real server

                                 =>real server

                                 =>real server

(3)고가용성 클러스터(HA)

->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클러스터로 위에 열거된 부하분산클러스터와 연동하여 많이 사용된다

-> 부하분산 클러스터에서 로드 밸런서에 오류가 발생해 동작하지 않으면 리얼 서버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더라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primary node가 부하분산의 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backup nodeprimary node의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가 이상이 발생하면 서비스를 이어받도록 구상됨

-> user => primary => backup node

           =>=>=>=>=> backup node

(backup nodeprimary node상태를 체크하다가 primary node 이상시 서비스를 이어받음)

 

4. 임베디드 시스템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등을 내장하여 특정 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만든 전자제어 시스템

-장점

-> 별도의  로열티나 라이선스 비용이없다

-> 리눅스를 사용한지 오래되었고, 커널이 안정적이다

->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및 지운하는 업체가 많이 존재한다

->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변경하고 재배포가 용이하다

-단점

->커널과 루트 파일 시스템등에 상대적으로 많은 메모리를 차지한다

-> 사용자 모드와 커널 모드 메모리 접근이 복잡하다

->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레임 워크가 복잡하다   

  

5.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자가 필요한 작업을 제시하면, 여기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이 할당되어 작업하고 결과를 얻도록 해주는 것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기술 개념을 말하낟

- 인터넷을 이용한 IT자원의 주문형 아웃소싱 서비스로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해 둔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곳이라면 다양한 단말을 통해 웹 브라우저등 필요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작업을 가능케 하는 이용자 중심의 컴퓨팅 환경을 말한다

-서비스 종류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버, 데스크톱 컴퓨터, 스토리지 같은 IT하드웨어 자원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빌려 쓰는 형태

(2)PaaS(Platform as a Service): 업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수 있는 환경을 클라우드에서 제공받는다

(3)Saas(Software as a Service): 기업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통째로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에게 빌려 쓰는 개념

 

6. 빅데이터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 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서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및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을 말한다

-빅데이터 분석기술: 데이터마이닝, 기계학습, 자연어 처리, 패턴인식

 

7. 사물인터넷

- 생활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

- 사물인터넷 플랫폼

-> 사물간에 인터넷을 할 수 있는 물적 기반인 통신네트워크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운영체제를 말함

(플랫폼 : 서로 이해관계와 관점이 다른 이들 간에 복잡도를 추상화하고, 일관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제공이용이하고, 서비스 활용이 용이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것)

->운용플랫폼 :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HW자원과 HW자원기능을 이용하는 디바이스 응용간의 플랫폼 ex) iOS, Windows, Linux, Android

->독립적 사물인터넷 플랫폼: 사용자가 센서 혹은 구동기 등을 추가하여 새로은 사물 프로토타입을 만들수 있는 HWSW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 ex)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사물 연결 플랫폼: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 연결을 통한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디바이스들이 서비스제공자들이고 다른 디바이스의 기능을 이용하는 디바이스 응용이 사용자가 된다,

->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용이한 생성 및 실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수집/저장/분석한 결과를 이용하는 응용 서비스 입장에서는 다양한 정보가 데이터 제공자가되며, 분석 결과를 이용하는 응용 서비스가 사용자가됨

1.운영체제

-컴퓨터 HW와 컴퓨터 사용자 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시스템 SW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있는 환경을 제공

-좁은의미: HW와 응용 프로그램간의 다리역할을 하는 커널

-넓은의미: 커널, 미들웨어, 응용프로그램 실행환경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 워크를 포괄하여 정의

-역할

-> 컴퓨터 HW제어

->작업순서결정 및 입출력제어

-> 프로그램 실행제어 및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

->사용자들 간의 HW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한다

->시스템자원을 시케줄링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수 있게함

->입출력을 쉽게하는 기능을 제공

->응용프로그램 작성 및 실행을 편리하게 제공

->오류 발생을 막고 복구를 지원

->데이터의 조직화 및 네트워크 통신 처리기능 수행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특징

->다중사용자 시스템

->다중작업 시스템

->강력한 네트워크 지원

->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계층적파일 시스템 지원

-> 가상메모리 지원

-> 고성능 프로세스의 최적화

-> 개방형 운영체제화

->뛰어난 이식성지원

-> 가상화지원

2.운영체제의 종류

1.서버 및 데스크톱 OS

-유닉스 : 다중사용자, 다중작업 지원, 강력한 네트워크 지원, 뛰어난 이식성과 확장성지원, 계층적 파일구조, 가상메모리 및 공유 라이브러리 지원

-윈도 : 멀티테스킹을 지원하는 GUI기반 OS

-Max OS X : BSD유닉스 기반으로 만든 넥스트스텝을 확장하여 만듦

2.리눅스 기반 모바일 OS

-타이젠, 모블린, 미고, 라모, 구글의 안드로이드, 바다 OS, 마에오, 모블린

3.스마트 TV

-TV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일종의 인터페이스 허브

4.IVI(In-Vehicle Infotainment =ICE(In-Car Entertainment))

-자동차내에서 CD,DVD등 재생과 오디오,비디오등을 제공하는 HW장치의 모음

-종류와 특징

(1)MSWindows Imbedded Automotive

           Windows CE r기반으로 만든 것으로 자동차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System을 위한 OS

(2)QNS

유닉스형태의 RTOX(Real-Time Operation System)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 내장되어있는 OS

(3)GENIVI

           공개형 리눅스 OS기반의 표준화된 자동차형 IVI플랫폼을 만들기위해 설립한 비영리조직

(4)안드로이드

           모바일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안드로이드가 IVI에 진출

(5)MeeGo/ TizenIVI

5. 웹운영체제

-웹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가상의 운영체제

-사용자는 별도의 OS설치과정없이 최소크기의 커널 위에서 동작하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제공자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

-EX) 크롬 OS

           ->동일한 작업현경을 어디에서나 사용가능(모든 데이터가 구글 서버에 저장됨)

->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빠르게 이용가능(부팅 프로세스의 불필요한 부팅은 버리고 빠른 부팅시간 제공)

->크롭웹스토어로 일부만 다운 받아 사용가능

-> 높은 보안성 제공

6. 리눅스의 특징

(1)다중사용자 및 다중 처리 시스템

-하나의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가능

-각 접속자들은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있다

(2) 완전히 공개된 시스템

-커널 뿐만 아니라 같이 내장되어 배포되는 응용 프로그램 소스 공개됨

(3) 뛰어난 네트워크 환경

-다양한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4)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

(5) 뛰어난 이식성

- 어셈블러와 C언어로 작성되어 C컴파일 가능하면 어셈블러 부분만 새롭게 만들고 C를 다시 컴파일하여 이식

(6) 유연성과 확장성

- 리눅스는 커널소스가 공개되어 다양한 채널을 통해 다양한 하드웨어 관련 지원을 받을 수 있다

(7) 뛰어난 안정성과 보안성

-오류 수정 과 보안 관련 패치가 다양하다

(8) 우수한 가격대 성능비

(9)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

7. 리눅스의 기술형 특징

(1)계층적인 파일 구조

(2)장치의 파일화

-특정 하드웨어에게 명령을 수행하려면 해당하는 장치 파일에 명령을 내리면됨

(3)가상메모리 사용(=swap영역사용)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 처럼 사용

-swap “free”-스왑확인

(4) 동적라이브러리 지원

(5) 가상콘솔

-하나의 모니터에 장착한 시스템에 여러 가상화면제공

-“CTRL+ALT+F1~6“

-“[SHIFT]+[PAGEUP]”,[SHIFT]+[PAGEUP]” : 가상 콘솔 사용시 지나간 작업 보기

(6) 파이프

-어떤 프로세스의 표준 출력이 다른 프로세스의 표준 입력으로 쓰이게 하는 것

(7)라다이렉션

-어떤 프로세스의 입/출력을 표준 입출력이 아닌 다른 입출력으로 변경시 사용

안드로이드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은 세팅 파일

  • xml 형색(yml 과 비슷)
  • 역할
    • 사용자 권한 식별(인터넷 엑세스, 사용자 연락처 읽기 액세스.. etc)
    • 앱이 요구하는 최소 api
      cf) 최소 api - 안드로이드 플렛폼 버전에서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api 수정 버전
    • 앱에서 요구하는 hw, sw기능(카메라, 음성인식 ... etc)
    • 앱에 링크되어야 하는 api라이브러리 선언

기본 프로젝트 세팅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com.example.manifastproject">
    <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android:roundIcon="@mipmap/ic_launcher_round"
        android:supportsRtl="true"
        android:theme="@style/AppTheme">
        <activity android:name=".MainActivity">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MAIN" />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LAUNCHER" />
            </intent-filter>
        </activity>
    </application>
</manifest>

항목 설명

  • application

    • 애플리케이션 모든 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 선언
  • intent-filter

    • 활동, 서비스, receiver가 응답할 수 있는 intent유형 지정
    • 전달되는 유형의 수신 intent를 필요 유무에 따라 사용
      • 대부분 action, catagory, data 아래 포함
      • 요소
        • 포함 요소 - activity, activity-alias, service, recevier
        • 필수 포함 요소 - action
        • 포함 가능 요소 - catagory, data
    • 속성
      • android:icon -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에 정의된 아이콘 들어감 (사용자가 보이는 아이콘)
      • android:label - 사용자에게 보이는 글자
      • android:priority - 필터에 설정된 intent처리와 관련해 상위 구성요소에 부여하는 우선수위 cf) setPriorty, getPriorty
      • android:order - 필터가 일치할 때 필터 처리되는 순서
        cf ) priority= 앱전체, order=단일앱에서 일치하는 filter의 순서
  • action

    • 안에 있어야함

    • intent-filter에 작업을 추가시킴 (특정 액션)

    • intent-filter 에 action이 있어야지 intent객체 허용

    • 속성

      • android:name - 작업이름(변수명), Intent 클래스의 상수로 정의

      • activity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느끼게 하는 것

      • 요소

      • 포함가능 항목 - intent-filter, meta-data, layout

      • 특성

      • android:allowEmbedded - 액티비티가 다른 액티비티의 포함된 하위항목으로 시작할수 있음

      • android:alwaysRetainTaskState - 시간이 지난후 시스템이 했던 작업 초기화

      • android:exported -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로 액티비티 실행 가능 여부

            <activity android:allowEmbedded=["true" | "false"]
              android:allowTaskReparenting=["true" | "false"]
              android:alwaysRetainTaskState=["true" | "false"]
              android:autoRemoveFromRecents=["true" | "false"]
              android:banner="drawable resource"
              android:clearTaskOnLaunch=["true" | "false"]
              android:colorMode=[ "hdr" | "wideColorGamut"]
              android:configChanges=["mcc", "mnc", "locale",
                                     "touchscreen", "keyboard", "keyboardHidden",
                                     "navigation", "screenLayout", "fontScale",
                                     "uiMode", "orientation", "density",
                                     "screenSize", "smallestScreenSize"]
              android:directBootAware=["true" | "false"]
              android:documentLaunchMode=["intoExisting" | "always" |
                                      "none" | "never"]
              android:enabled=["true" | "false"]
              android:excludeFromRecents=["true" | "false"]
              android:exported=["true" | "false"]
              android:finishOnTaskLaunch=["true" | "false"]
              android:hardwareAccelerated=["true" | "false"]
              android:icon="drawable resource"
              android:immersive=["true" | "false"]
              android:label="string resource"
              android:launchMode=["standard" | "singleTop" |
                                  "singleTask" | "singleInstance"]
              android:lockTaskMode=["normal" | "never" |
                                  "if_whitelisted" | "always"]
              android:maxRecents="integer"
              android:maxAspectRatio="float"
              android:multiprocess=["true" | "false"]
              android:name="string"
              android:noHistory=["true" | "false"]  
              android:parentActivityName="string" 
              android:persistableMode=["persistRootOnly" | 
                                       "persistAcrossReboots" | "persistNever"]
              android:permission="string"
              android:process="string"
              android:relinquishTaskIdentity=["true" | "false"]
              android:resizeableActivity=["true" | "false"]
              android:screenOrientation=["unspecified" | "behind" |
                                         "landscape" | "portrait" |
                                         "reverseLandscape" | "reversePortrait" |
                                         "sensorLandscape" | "sensorPortrait" |
                                         "userLandscape" | "userPortrait" |
                                         "sensor" | "fullSensor" | "nosensor" |
                                         "user" | "fullUser" | "locked"]
              android:showForAllUsers=["true" | "false"]
              android:stateNotNeeded=["true" | "false"]
              android:supportsPictureInPicture=["true" | "false"]
              android:taskAffinity="string"
              android:theme="resource or theme"
              android:uiOptions=["none" | "splitActionBarWhenNarrow"]
              android:windowSoftInputMode=["stateUnspecified",
                                           "stateUnchanged", "stateHidden",
                                           "stateAlwaysHidden", "stateVisible",
                                           "stateAlwaysVisible", "adjustUnspecified",
                                           "adjustResize", "adjustPan"] >   
            . . .
            </activity>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manifest/activity-element)

  • activity-alias

    • targetActivity 속성에 이름이 지정되어 있어야함

    • 타켓은 별칭과 동일한 application이 있어야하며 menifest보다 먼저 선언됨

    • 타켓 활동에 독립적 항목 (고유 인텐트 필터 소유 가능)

    • 하위집합에 있는 속성인 경우 타켓에 설정된 어떤 값도 적용 X

    • But, 하위집합이 없다면 타켓 활동에 별칭이 적용

    • 와 의 enabled속성이 둘다 true여야지 사용 가능

    • 요소

      • 포함된 요소 : application

      • 포함 가능 요소 : intent-filter, meta-data

          <activity-alias android:enabled=["true" | "false"]
                        android:exported=["true" | "false"]
                        android:icon="drawable resource"
                        android:label="string resource"
                        android:name="string"
                        android:permission="string"
                        android:targetActivity="string">
            . . .
          </activity-alias>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manifest/activity-alias-element)

  • category

    • 인텐트를 처리해야하는 구성요소의 종류 및 추가 정보를 담은 문자열
    • intent안에 있어도되지만 없어도됨
    • ex) CATEGORY_BROWSABLE (대상 액티비티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시작하도록 허용, 미디어 링크 참조된 데이터 허용)
    • ex) CATEGORY_LAUNCHER (작업 최조 액티비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시작 관리자에 목록)
    • 요소
      • 포함된 요소- intent-filter
  • data

    • intent 에 포함할 데이터 사양
    • 요소
      • 포함된 요소 - intent-filter
    • scheme://host:port[path |pathPrefix|pathPattern]
  • provider

    • 콘텐츠 제공자 구성요소 선언
    • 애플리케이션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에 관해 정해진 엑세스 제공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provider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선언하면 안됨
    • 요소
      • 포함된 요소 - application
      • 포함 가능한 요소 - meta-data, grant-uri-permission, path-permission
  • reseiver

    •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중 하나
    •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구성요소가 실행되고 있지 않아도 시스템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인스턴트를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가능
  • service

    •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중 하나
    • activity와 달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영향을 주는게 없음
    • 백그라운드 작업, api작업 구현시 사용
    • 모든 서비스는 manifest에 service 등록해야 실행 가능
  • uses-configuration

    • application에 필요한 sw, hw 기능
    • 대부분의 앱에서는 사용 안함
      • 언제 사용? 시각장애인 지원 터치패드 ...etc
  • uses-feature

    • 외부 에플리케이션이 의존하는 hw, sw기능 집합
  • uses-permission

    • 예를 들어 '카메라'기능이 필요한경우 google play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카메라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이를 제공하지 않는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필터링 해야함
    • 이때 필터링을 하기위해 uses-permission 요소에 카메라 기능을 검색하는데 googleplay에 의존하지 않고 uses-feature요소에 하드웨어 기능을 명시적으로 선언한후,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 하고 싶은 경우 android:required="false" 특성을 에 추가

권한

// 설정 방법
<manifest>
    <user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SEND_SMS"/>
</manifest>

앱 구성 요소

  • activity
    • 사용자가 보는 하나의 화면
    • ex) mail app -> 메일 작성, 메일 리스트, 새메일알림...
  • service
    • activity 에서 동작 하는 함수
  • broadcast reviewer
    • 정기적인 이벤트 밖에서 구성되는 이벤트들
    • ex) 알림기능
  • content provider

안드로이드는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viewer는 " 비동기 메세지(인텐트)" 로 활성화

cf ) intent 란?

  • 구성 요소가 어느 앱에 속하든 관계없이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작업을 요청하는 역할
  • 특정 구성요소를 활성화 할지 아니면 구성요소의 암시적 특정 유형을 활성화할지 나타내는 메시지를 정의
  • activity끼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주의 사항

  • android: ~로 시작
  • , 는 필수 요소
  • 같은 라인에 있는 것들은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
    • 예외 : 는 다음에 와야함
    • 예외 : 은 의 마지막에 와야함

매니페스트란 ?

  • xml 형색(yml 과 비슷)
  • 안드로이드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세팅 파일
  • 역할
    • 사용자 권한 식별(인터넷 엑세스, 사용자 연락처 읽기 액세스.. etc)
    • 앱이 요구하는 최소 api
      cf) 최소 api - 안드로이드 플렛폼 버전에서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api 수정 버전
    • 앱에서 요구하는 hw, sw기능(카메라, 음성인식 ... etc)
    • 앱에 링크되어야 하는 api라이브러리 선언

기본 프로젝트 세팅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package="com.example.manifastproject">
    <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android:roundIcon="@mipmap/ic_launcher_round"
        android:supportsRtl="true"
        android:theme="@style/AppTheme">
        <activity android:name=".MainActivity">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MAIN" />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LAUNCHER" />
            </intent-filter>
        </activity>
    </application>
</manifest>

항목 설명

  • application
    • 애플리케이션 모든 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 선언
  • intent-filter
    • 활동, 서비스, receiver가 응답할 수 있는 intent유형 지정
    • 전달되는 유형의 수신 intent를 필요 유무에 따라 사용
      • 대부분 action, catagory, data 아래 포함
      • 요소
        • 포함 요소 - activity, activity-alias, service, recevier
        • 필수 포함 요소 - action
        • 포함 가능 요소 - catagory, data
    • 속성
      • android:icon -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에 정의된 아이콘 들어감 (사용자가 보이는 아이콘)
      • android:label - 사용자에게 보이는 글자
      • android:priority - 필터에 설정된 intent처리와 관련해 상위 구성요소에 부여하는 우선수위 cf) setPriorty, getPriorty
      • android:order - 필터가 일치할 때 필터 처리되는 순서
        cf ) priority= 앱전체, order=단일앱에서 일치하는 filter의 순서
  • action
    • 안에 있어야함
    • intent-filter에 작업을 추가시킴 (특정 액션)
    • intent-filter 에 action이 있어야지 intent객체 허용
    • 속성
      • android:name - 작업이름(변수명), Intent 클래스의 상수로 정의
      • activity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느끼게 하는 것
      • 요소
      • 포함가능 항목 - intent-filter, meta-data, layout
      • 특성
      • android:allowEmbedded - 액티비티가 다른 액티비티의 포함된 하위항목으로 시작할수 있음
      • android:alwaysRetainTaskState - 시간이 지난후 시스템이 했던 작업 초기화
      • android:exported -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로 액티비티 실행 가능 여부
    <activity android:allowEmbedded=["true" | "false"]
      android:allowTaskReparenting=["true" | "false"]
      android:alwaysRetainTaskState=["true" | "false"]
      android:autoRemoveFromRecents=["true" | "false"]
      android:banner="drawable resource"
      android:clearTaskOnLaunch=["true" | "false"]
      android:colorMode=[ "hdr" | "wideColorGamut"]
      android:configChanges=["mcc", "mnc", "locale",
                             "touchscreen", "keyboard", "keyboardHidden",
                             "navigation", "screenLayout", "fontScale",
                             "uiMode", "orientation", "density",
                             "screenSize", "smallestScreenSize"]
      android:directBootAware=["true" | "false"]
      android:documentLaunchMode=["intoExisting" | "always" |
                              "none" | "never"]
      android:enabled=["true" | "false"]
      android:excludeFromRecents=["true" | "false"]
      android:exported=["true" | "false"]
      android:finishOnTaskLaunch=["true" | "false"]
      android:hardwareAccelerated=["true" | "false"]
      android:icon="drawable resource"
      android:immersive=["true" | "false"]
      android:label="string resource"
      android:launchMode=["standard" | "singleTop" |
                          "singleTask" | "singleInstance"]
      android:lockTaskMode=["normal" | "never" |
                          "if_whitelisted" | "always"]
      android:maxRecents="integer"
      android:maxAspectRatio="float"
      android:multiprocess=["true" | "false"]
      android:name="string"
      android:noHistory=["true" | "false"]  
      android:parentActivityName="string" 
      android:persistableMode=["persistRootOnly" | 
                               "persistAcrossReboots" | "persistNever"]
      android:permission="string"
      android:process="string"
      android:relinquishTaskIdentity=["true" | "false"]
      android:resizeableActivity=["true" | "false"]
      android:screenOrientation=["unspecified" | "behind" |
                                 "landscape" | "portrait" |
                                 "reverseLandscape" | "reversePortrait" |
                                 "sensorLandscape" | "sensorPortrait" |
                                 "userLandscape" | "userPortrait" |
                                 "sensor" | "fullSensor" | "nosensor" |
                                 "user" | "fullUser" | "locked"]
      android:showForAllUsers=["true" | "false"]
      android:stateNotNeeded=["true" | "false"]
      android:supportsPictureInPicture=["true" | "false"]
      android:taskAffinity="string"
      android:theme="resource or theme"
      android:uiOptions=["none" | "splitActionBarWhenNarrow"]
      android:windowSoftInputMode=["stateUnspecified",
                                   "stateUnchanged", "stateHidden",
                                   "stateAlwaysHidden", "stateVisible",
                                   "stateAlwaysVisible", "adjustUnspecified",
                                   "adjustResize", "adjustPan"] >   
    . . .
    </activity>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manifest/activity-element

  • activity-alias
    • targetActivity 속성에 이름이 지정되어 있어야함
    • 타켓은 별칭과 동일한 application이 있어야하며 menifest보다 먼저 선언됨
    • 타켓 활동에 독립적 항목 (고유 인텐트 필터 소유 가능)
    • 하위집합에 있는 속성인 경우 타켓에 설정된 어떤 값도 적용 X
    • But, 하위집합이 없다면 타켓 활동에 별칭이 적용
    • 와 의 enabled속성이 둘다 true여야지 사용 가능
    • 요소
      • 포함된 요소 : application
      • 포함 가능 요소 : intent-filter, meta-data
  <activity-alias android:enabled=["true" | "false"]
                android:exported=["true" | "false"]
                android:icon="drawable resource"
                android:label="string resource"
                android:name="string"
                android:permission="string"
                android:targetActivity="string" >
    . . .
  </activity-alias>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manifest/activity-alias-element)

  • category
    • 인텐트를 처리해야하는 구성요소의 종류 및 추가 정보를 담은 문자열
    • intent안에 있어도되지만 없어도됨
    • ex) CATEGORY_BROWSABLE (대상 액티비티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시작하도록 허용, 미디어 링크 참조된 데이터 허용)
    • ex) CATEGORY_LAUNCHER (작업 최조 액티비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시작 관리자에 목록)
    • 요소
      • 포함된 요소- intent-filter
  • data
    • intent 에 포함할 데이터 사양
    • 요소
      • 포함된 요소 - intent-filter
    • scheme://host:port[path |pathPrefix|pathPattern]
  • provider
    • 콘텐츠 제공자 구성요소 선언
    • 애플리케이션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에 관해 정해진 엑세스 제공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provider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선언하면 안됨
    • 요소
      • 포함된 요소 - application
      • 포함 가능한 요소 - meta-data, grant-uri-permission, path-permission
  • reseiver
    •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중 하나
    •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구성요소가 실행되고 있지 않아도 시스템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인스턴트를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가능
  • service
    •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중 하나
    • activity와 달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영향을 주는게 없음
    • 백그라운드 작업, api작업 구현시 사용
    • 모든 서비스는 manifest에 service 등록해야 실행 가능
  • uses-configuration
    • application에 필요한 sw, hw 기능
    • 대부분의 앱에서는 사용 안함
      • 언제 사용? 시각장애인 지원 터치패드 ...etc
  • uses-feature
    • 외부 에플리케이션이 의존하는 hw, sw기능 집합
  • uses-permission
    • 예를 들어 '카메라'기능이 필요한경우 google play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카메라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이를 제공하지 않는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필터링 해야함
    • 이때 필터링을 하기위해 uses-permission 요소에 카메라 기능을 검색하는데 googleplay에 의존하지 않고 uses-feature요소에 하드웨어 기능을 명시적으로 선언한후,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 하고 싶은 경우 android:required="false" 특성을 에 추가

권한

// 설정 방법
<manifest>
    <user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SEND_SMS"/>
</manifest>

앱 구성 요소

  • activity
    • 사용자가 보는 하나의 화면
    • ex) mail app -> 메일 작성, 메일 리스트, 새메일알림...
  • service
    • activity 에서 동작 하는 함수
  • broadcast reviewer
    • 정기적인 이벤트 밖에서 구성되는 이벤트들
    • ex) 알림기능
  • content provider

안드로이드는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viewer는 " 비동기 메세지(인텐트)" 로 활성화

cf ) intent 란?

  • 구성 요소가 어느 앱에 속하든 관계없이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작업을 요청하는 역할
  • 특정 구성요소를 활성화 할지 아니면 구성요소의 암시적 특정 유형을 활성화할지 나타내는 메시지를 정의
  • activity끼리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주의 사항

  • android: ~로 시작
  • , 는 필수 요소
  • 같은 라인에 있는 것들은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
    • 예외 : 는 다음에 와야함
    • 예외 : 은 의 마지막에 와야함

- 문제 )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 Sol )


문제를 읽고 접근방법은 일단 처음 드는 생각은 이 경우의 수는

1. 여분이 있는 것과 도난 당한 것을 구분 -> 이유? 여분이 있었는데 도난 당했을 수도 있어서
2. 만약 체육복이 도난 당했다
if 왼쪽에 여분 체육복 있음 / 왼쪽 빌림 break
else if 오른쪽에 여분 체육복 있음 / 오른쪽 빌리고 break
else 왼쪽 오른쪽 여분 체육복이 없음 ? 그럼 얘는 옷이 없음

 

- Code )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iostream>
#include<cstdio>
using namespace std;
int stu[31];
// 여벌옷을 가지고 온 학생도 도난 당할 수 있다, 이때는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이에게 체육복 빌릴수 없
int solution(int n, vector<int> lost, vector<int> reserve) {
    int answer=0;
    int sum =0;
	for(int i=0;i<reserve.size();i++){
		stu[reserve[i]]+=1;
	}
	for(int i=0;i<lost.size();i++){
		stu[lost[i]]-=1;
	}
	for(int i=1;i<=n;i++){
		if(stu[i]==-1){
			if(stu[i-1]==1){
				stu[i-1]=stu[i]=0;
			} else if(stu[i+1]==1){
				stu[i+1]=stu[i]=0;
			} 
		}
	}
	for(int i=1;i<=n;i++){
		if(stu[i]!=-1) answer++;
	}
    return answer;
}

 

- Result )

- Ref )

문제좀 잘 읽자.. 처음에는 괜히 시간줄여본다고 lost에서 pop해서 할까 했는데 생각해보니 시간초과 날 것 같았다. 

그리고 처음에 문제를 대충 읽어서.. 저 빨간 박스를 보지 못했다.ㅜ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 Union-Find 기법  (0) 2020.10.21
[프로그래머스]이중우선순위큐 - 힙  (0) 2020.06.25
[프로그래머스] 디스크컨트롤러 - 힙  (0) 2020.06.24

+ Recent posts